오늘은 KB국민은행의 수수료를 총정리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수수료 내는건 참 아깝습니다.
인건비를 대체하는거라고 보면, 이미 다양한 비용에 녹아져있는건데 왜 수수료를 추가로 받는지...
그치만 역시 자본주의 사회에 돈을 추구한다는데 말릴 순 없겠죠... 그렇다면 우리는 그 수수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지혜는 지식으로부터, 경험으로부터 나옵니다.
오늘은 지식을 채워보겠습니다.
일단 수수료가 뭐가 있는지부터 알아봐야겠죠?
국민은행에서 부과하고있는 수수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크게 나누면 7개 영역으로 구분됩니다.
1. 이체수수료
2.대출수수료
3.외화수수료
4.펀드환매수수료
5. ATM사용수수료
6. 보안매체 발급수수료
7. 입출금내역 자동통지서비스
각 영역별 내용을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
말 그대로 돈을 이체할 때 발생하는 비용 입니다.
인터넷뱅킹 또는 KB스타뱅킹을 사용한다면 무료로 이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수수료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대출수수료 입니다. 신규로 대출을 받을 때 금액에 따라 인지세를 내게됩니다. 대출 인지세는 금액에따라 달라지는데
5천만원 이하 인지세 0원
5천만원~1억원 인지세 7만원
1억원~10억원 인지세 15만원
금액은 위와같습니다.
보증료와 중도상환수수료는 챗봇을 이용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외화수수료는 외국돈을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발생하게됩니다. 출금할 때만 발생하는거 아니에요. 입급할때도 발생합니다.
달러, 엔화, 유로는 금액X매매기준율X1.5%의 수수료
그 외 외국돈들은 무려 수수료가 3% 입니다.
펀드환매수수료는 펀드를 판매할 때 나오는 수수료인데 이건 설명에 나와있듯이 기준가격 적용일, 세금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사실 이게 메인이죠 수수료에서는
ATM을 사용하여 타행으로 금액을 이체할 때 발생하는 비용을 ATM 사용수수료라고 합니다.
-10만원 이하 이체는 500원
-10만원 초과 100만원 이하는 1000원
-100만원 초과는 1200원
입니다.
제일 아깝죠 이 수수료가.
타행 ATM 비용을 면제해주는 다양한 입출금통장들이 있으니 만약 ATM을 자주 이용하신다면 꼭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많이 사용하는 OTP를 발급할 때 발생되는 비용입니다. 큰 금액을 이체하거나 할 때 반드시 쓸 수 밖에 없는거라 왠만한 분들은 다 가지고있는겁니다.
대부분 카드형을 쓰실텐데 카드형의 발급비용은 10,000원의 비용이 나온다고합니다.
이건 입출금내역을 자동으로 문자와 같은 서비스로 제공을 해주는건데, 요즘은 이게 앱푸쉬로 되죠? 굳이 쓸 필요는 잘 못느끼겠습니다. 한달에 약 900원 정도 듭니다.
오늘은 국민은행의 수수료를 알아봤습니다.
현명한 소비 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ATM 수수료 걱정은 그만, KB국민ONE통장을 알아보자 (0) | 2023.10.18 |
---|---|
아낀만큼 저축해주는 KB국민은행 'My 저금통' 서비스 (1) | 2023.10.08 |
생활안정을 위한 압류방지 전용통장, KB국민은행 행복지킴이통장 가입대상 등 알아보기 (0) | 2023.09.03 |
KB국민은행 나라사랑우대통장 우대금리, 변경사항 알아보기 (0) | 2023.09.01 |
KB Yong Youth 어린이통장, 아기통장 준비는 이걸로 끝(feat. 교육까지?) (0) | 2023.08.26 |